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역수송체
- 전주 결혼 준비
- 베타 산화
- 노션 단축키
- 광계
- 오블완
- 단백질 분류
- 인지질
- 노션 필수 단축키
- 루비스코
- 당지질
- 콜레스테롤
- 티스토리챌린지
- 퍼옥시좀
- 글라이옥시좀
- 인슐린
- 신호서열
- 캘빈회로
- 네른스트 방정식
- 차등 전위
- 밀착연접
- 인테그린
- 노션 블록
- 전주 결혼
- 후구동물
- 광호흡
- 선구동물
- 초나선
- 수동수송
- 간극연접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데스모좀 (1)
숭늉의 연구일지
[생물 임용 노트]세포소기관 - 11) 세포 간 연접 : 데스모좀, 밀착연접, 간극연접, 원형질 연락사
데스모좀(desmosome) 구조 주로 상피세포에 발달되어 있다. 한 세포의 단단한 중간 섬유를 인접하는 중간섬유에 연결하는 결합이다. 중간 섬유에 결합된 막관통 단백질인 카드헤린(cadherrin)이 인접 세포의 카드헤린과 직접 결합하는 형태이다. 카드헤린 사이 결합에는 Ca2+가 필요하다. 기능 세포 간의 기계적 결합을 강화한다. 만일 파괴될 경우 물집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추가 헤미데스모좀(hemi-desmosome)은 상피세포를 기저층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 섬유 대신 액틴 섬유가 결합에 관여하는 경우 '접착연접(adherens junction)'이라고 한다. 밀착연접(tight junction) 장의 상피세포, 혈관의 내피 세포 및 세뇨관 상피세포에 존재한다. 단, 뇌모세혈관을 제외한..
생물학 임용노트/세포
2024. 1. 24. 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