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당지질
- 글라이옥시좀
- 베타 산화
- 선구동물
- 밀착연접
- 차등 전위
- 광계
- 캘빈회로
- 인테그린
- 간극연접
- 콜레스테롤
- 노션 단축키
- 초나선
- 수동수송
- 역수송체
- 루비스코
- 퍼옥시좀
- 노션 필수 단축키
- 노션 블록
- 신호서열
- 단백질 분류
- 전주 결혼 준비
- 전주 결혼
- 티스토리챌린지
- 네른스트 방정식
- 광호흡
- 인지질
- 후구동물
- 인슐린
- Today
- Total
목록생물학 임용노트 (271)
숭늉의 연구일지

기체 교환폐포의 모세혈관과 조직의 모세혈관 수준에서 가스 교환은 분압 기울기에 의한 O2, CO2의 단순 수동 확산으로 이루어진다.산소 해리곡선산소 해리 곡선 그래프 참고 : [생물 임용 노트] 단백질 - 3) 단백질의 기능: 단백질과 리간드의 협동적 상호 작용높은 고도의 순응산소 농도의 지속적 감소는 신장을 자극하여 적혈구 조혈인자(erythropoietin)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한다.높은 고도순응 기작 : 폐 환기량 증가, 적혈구 수 증가, 확산 능력 증가, 조직의 혈관 분포 증가, 점성 증가에 따른 우측 심장의 펌핑 기능 증가, 미토콘드리아 증가CO2의 운반CO2는 중탄산 형태로 60~70%, 헤모글로빈(Hb)과의 결합으로 25~30%, 물리적 용해 상태로 5~10% 수송된다.NaHCO3 형태로 운..
주기적 조절, 수의적 조절주기적 조절 : 주기적인 신경활동에 의해 호흡 근육이 움직이는 방식이다. 호흡 중추에 의해 조절된다.수의적 조절 : 의식적으로 근육을 활성화해 호흡 활동을 조절하는 방식이다.연수의 호흡 중추배측 호흡군(DRG) : 대부분 흡기 뉴런으로 구성된다. 흡기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뉴런과 연결되어 있다. 흥분 시 흡기가 일어나며 VRG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복측 호흡군(VRG) : 환기에 대한 요구 증가 시 DRG에 의해 자극되어 활성화된다 특히 강제 호기에 중요하다.뇌교의 호흡 중추정상적인 흡기와 호기를 생성하기 위해 연수 중추에 영향을 미친다.주기적 중추(pneumotaxic center) : 흡기 신경세포를 끄고, 흡기 지속 시간을 제한하는 충격을 DRG로 보낸다.무기문식 중추(ap..

폐용적과 폐용량일회 호흡량(TV) : 안정 호흡동안 각 호흡에서 들이마시고 내쉰 공기의 양폐활량(VC) : 숨을 최대로 들이마신 다음 강하게 최대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IRV+ERV+TV)흡기성 예비용량(IRV) : 강제 흡기를 통해서 흡수가 가능한 최대량호기성 예비용량(ERV) : 강제 호기를 통해서 배출 가능한 최대량잔기용량 : 최대 호기시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총 분사량 : 안정 시 1분간 호흡수 x 일회 호흡량(TV)사강폐호흡에 흡입된 공기가 가스 교환이 일어나는 부위에 내려가지 않아서 생기는 부분이다. 전도기관 내의 공기는 가스교환에 이용하지 않는다.예를 들어500ml의 공기를 흡수한 경우 350ml만 기체 교환에 이용하고 150ml는 기도에 존재하는데, 이때 150ml를 사강이라고..

호기와 흡기흡기는 폐포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일어난다.호기는 폐포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 일어난다.폐포 내압은 폐의 용적 변화로 변화된다.흡기와 호기의 메커니즘호흡근흡기근 : 횡격막, 외늑간근, 목의 보조 흡기근호기근 : 내늑간근, 복근흡기 메커니즘시작 전 : 호흡근이 이완되고 공기의 흐름이 없는 상태이다. 폐포 내압과 대기압이 같다.횡격막의 신경 자극 → 횡경막 수축 → 내려감 → 흉강의 수직 용적 증가외늑간근 수축 → 늑골의 팽창 → 흉골이 밖으로 팽창 → 흉강의 전후 확장흉강의 확장 → 폐가 흉강을 채우려고 확장 → 폐포 내압 감소 →공기가 폐 속으로 이동심호흡 시 보조 흡기근에 의해 흉강이 더 확장된다.호기조용한 호기 : 흡기근의 이완에 의해 흉강의 부피가 작아지면서 폐포 내압 증가로..

호흡(respiration)환경에서 각 조직으로 산소가 이동하는 과정이다.외호흡 : 외부 환경과 세포 사이의 O2와 CO2의 교환 과정이다.내호흡 : 미토 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나는 세포 내 대사 과정이다.외호흡외호흡은 확산에 의존한다.확산율(Q) = △P·A·D / △x (D: 확산 계수, A: 표면적, △P: 분압차, △x: 확산거리)분압(portial pressure) : 가스 혼합물에서 특정 가스가 독립적으로 가하는 압력이다.예> 건조 공기의 압력 760mmHg 중 PO2 = 160mmHg혈액 용해 가스의 양은 혈액의 가스 용해도와 환경의 가스 분압에 의존한다.외호흡의 4단계환기(ventilation) : 외물질(공기, 물)을 이동시키는 것호흡 표면의 확산 : O2와 CO2는 호흡표면을 거쳐 환경과..

지혈(homeostasis)파손된 혈관에서 출혈을 막는 과정을 의미한다.혈관 경련, 혈소파 마개 형성, 혈액 응고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혈관 경련혈관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혈관이 수축한다.혈소판은 화학물질을 방출한다.교감 신경에 의한 혈관 수축이 일어난다.이를 통해 혈류는 감소하고, 혈액 손실량이 줄어들고, 혈관이 밀봉된다.혈소판 마개 형성혈관이 손상되면 결합조직의 콜라겐이 노출되는데, 인테그린이 관여해 혈소판이 결합 조직에 결합되도록 돕는다.결합한 혈소판은 화학물질(ADP, 세로토닌, PAF(혈소판 활성 인자))를 방출해 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PAF는 다른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다른 혈소판은 다시 PAF를 분비하는 양성 피드백이 일어난다.PAF는 혈소판 세포막의 인지질을 트롬복산A2로 전환..

압력 수용기경동맥동 압력 수용기와 대동맥동 압력 수용기가 있다.이들은 혈압과 맥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물리적 자극 수용기이다.혈압이 증가하면 활동 전위의 빈도가 증가해 반사가 시작되어 혈압을 정상치로 유지시킨다.혈압이 감소하면 활동 전위의 빈도가 감소해 반사가 시작되어 혈압을 정상치로 유지시킨다.압력 수용기 반사 경로기본 경로 : 수용체 → 구심성 경로 → 통합 중추 → 원심성 경로혈압 증가 → 활동 전위 빈도 증가 → 구심성 신경 발포율 증가 → 교감 신경 활성 감소, 혈관 수축력 감소, 부교감 신경 활성 증가 → 심장 박동율 감소, 1회 박출량 감소, 소동맥과 정맥의 확장 → 심박출량 감소, 말초 저항 감소 → 정상 혈압혈압 감소 → 활동 전위 빈도 감소 → 구심성 신경 발포율 감소 → 교감 신..

정맥정맥의 특징심장으로 가는 혈액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체내 혈액의 60%가 정맥에 존재한다. 체내 혈액의 저장고 역할을 수행한다.신축성이 낮고 판막이 곳곳에 존재한다.정맥 환류1분간 정맥에서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혈액을 의미한다.교감 신경 - 정맥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높여 정맥 환류를 증가시킨다.골격근 펌프 - 정맥 근처의 골격근의 수축은 혈액의 펌핑을 만들어 정맥 환류를 증가시킨다.호흡 펌프 - 횡격막의 복부 압박으로 혈액이 펌핑되어 정맥 환류를 증가시킨다.모세혈관과 림프계모세혈관의 특징혈관벽이 얇고 지름이 매우 작다.많이 분지되어 있어 표면적이 넓고, 혈류 속도는 낮고, 혈관 벽에 구멍이 존재한다. → 물질 교환에 매우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모세혈관 전 괄약근이 소동맥에 존재하여 모세혈관으로 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