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늉의 연구일지

[생물 임용 노트]호흡- 2) 흡기와 호기 : 흡기, 호기 본문

생물학 임용노트/동물생리학

[생물 임용 노트]호흡- 2) 흡기와 호기 : 흡기, 호기

OrtSol 2025. 2. 9. 21:29

호기와 흡기

  • 흡기는 폐포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일어난다.
  • 호기는 폐포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 일어난다.
  • 폐포 내압은 폐의 용적 변화로 변화된다.

흡기와 호기의 메커니즘

호흡근

  • 흡기근 : 횡격막, 외늑간근, 목의 보조 흡기근
  • 호기근 : 내늑간근, 복근

흡기 메커니즘

  • 시작 전 : 호흡근이 이완되고 공기의 흐름이 없는 상태이다. 폐포 내압과 대기압이 같다.
  • 횡격막의 신경 자극 → 횡경막 수축 → 내려감 → 흉강의 수직 용적 증가
  • 외늑간근 수축 → 늑골의 팽창 → 흉골이 밖으로 팽창 → 흉강의 전후 확장
  • 흉강의 확장 → 폐가 흉강을 채우려고 확장 → 폐포 내압 감소 →공기가 폐 속으로 이동
  • 심호흡 시 보조 흡기근에 의해 흉강이 더 확장된다.

호기

  • 조용한 호기 : 흡기근의 이완에 의해 흉강의 부피가 작아지면서 폐포 내압 증가로 인해 공기가 나가는 수동적인 과정이다.
  • 활성 호기 : 호기근의 능동적 수축으로 인한 호기이다.
    • 복부근 수축 → 복부 내압 증가 → 횡격막이 더 깊이 흉강 속으로 들어감(횡격막이 올라감)  → 흉가 크기 감소
    • 내늑간근 수축 →  늑골이 안으로 당겨짐 →  흉강 크기 감소

폐포 내압 - 늑막 내압 - 폐 부피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