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간극연접
- 신호서열
- 캘빈회로
- 차등 전위
- 티스토리챌린지
- 퍼옥시좀
- 콜레스테롤
- 광호흡
- 전주 결혼
- 전주 결혼 준비
- 초나선
- 인슐린
- 오블완
- 인테그린
- 노션 단축키
- 글라이옥시좀
- 광계
- 밀착연접
- 단백질 분류
- 네른스트 방정식
- 인지질
- 선구동물
- 역수송체
- 당지질
- 후구동물
- 노션 블록
- 노션 필수 단축키
- 베타 산화
- 루비스코
- 수동수송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32)
숭늉의 연구일지
기능가스트린벽세포, 주세포를 자극위와 소장의 운동성을 자극위 점막, 소장 점막을 자극단백질 함유 유미죽이 촉진위산 축적, 십이지장 산화가 억제 세크레틴위 비움 억제위액 분비 억제NaHCO3 분비 자극담즙 분비 자극이자 외분비 자극(cck와 같이)십이지장 산성화가 촉진cck위 운동성과 비움 억제위액 분비 억제이자 효소 분비 자극담즙 분비 촉진이자 외분비 자극포만감십이지장의 지방과 단백질 유입이 촉진GIP흡수 영양분의 대사 촉진인슐린 방출을 자극위액 억제 기
소화 효소를 분비하지 않는다. 주된 기능은 수분, NaCl,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된 비타민 K, 비오틴, 엽산을 흡수하는 것이다.배변직장에서 변이 존재시 수용기를 자극하여 배변 반사가 시작된다.항문 내부 괄약근이 이완된다.항문 외부 괄약근이 이완된다. 이는 수의 조절이 가능하다.수분과 염의 흡수Na+는 능동적으로 흡수된다.Cl-는 전기 기울기에 따라 수동적으로 흡수된다.수분은 삼투로 흡수 된다.
영양소 대부분의 소화와 흡수가 일어나는 장소이다.소장의 적응 구조소장은 흡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적응 구조를 갖고 있다.소장 점막의 특이적인 변형이 흡수가용 면적을 크게 증가시킨다. 최대 600배까지 증가한다.환상 주름 - 표면적을 최대 3배까지 증가시킨다.융모 - 표면적을 최대 10배까지 증가시킨다.미세융모 - 표면적을 최대 20배까지 증가시킨다.융모의 구조상피세포 : 밀착 연접으로 연결되어 있다. 미세 융모에 영양소와 전해질 흡수를 위한 수송체와 소화 효소를 갖는다.모세관의 망상 구조 : 융모에 소동맥 망상 구조가 공급되어 가지를 쳐서 분포한다. 이후 소장막을 이루며 빠져나간다.림프관 말단 : 융모 중앙에 '중앙 유미관'이라는 림프관이 존재한다. 흡수 과정에서 소화 기질이 모세 혈관이나 유미관으로 흡..
쓸개즙지방산의 유화를 통해 표면적을 증가시켜 소화를 잘 일으키고 미셸을 형성하여 흡수를 돕는다.소장에서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한다.빌리루빈 : 소화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 하는 물질. 일종의 폐기물로 간세포에 의해 능동적으로 분비된다.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되어 있다가 오디괄약근에 의해 조절되어 배출된다. 이후 소화에 참여한 뒤 소장 말단에서 능동 수송으로 흡수된다.십이지장 내 지방 존재시 cck에 의해 오디괄약근이 이완되고 이에 따라 쓸개즙(담즙)이 분비된다.간의 기능흡수 영양소의 대사노폐물, 호르몬, 약물, 화합물의 해독과 분해혈장 단백질 합성영양소 저장적혈구 제거와 빌리루빈 방출포도당 신생성 등...

외분비 물질단백질 분해 효소 :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 프로카르복시펩티데이스, (그림 추가)이자 아밀레이스 : 다당류 → 이당류이자 라이페이스 : TAG를 MAG와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분해NaHCO3 : 이자 효소의 활성 유지(약알칼리), HCl 중화외분비 조절소장에서 분비되는 엔테로가스테론 중 세크레틴과 cck에 의해 조절된다.세크레틴이자에서 NaHCO3의 분비를 촉진단백질, 지방 산물, 산 자극에 의해 분비cck 효과 강화cck지방과 단백질 분해 산물에 의해 분비이자효소 분비 촉진지방 산물 - NaHCO3, 효소를 거의 같은 비율로 분비단백질산물 - 효소와 NaHCO3을 7:3의 비율로 분비

위액 분비 조절위액은 3가지 방식으로 분비가 조절된다.뇌에 의한 위액 분비 조절위 자극에 의한 위액 분비 조절위 속의 펩타이드, 카페인, 알코올에 의해 위 자극이 발생하면 장 신경계의 단기 반사, 장기 반사에 의해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뇌와 같은 경로로 조절된다.십이지장에 의한 위액 분비 조절위 비움 조절위와 십이지장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위 평활근을 탈분극, 과분극 시켜 흥분성에 영향을 준다.위유미죽의 양이 증가 → 위 팽창 → 신경과 호르몬 활성 → 운동성 증가유미죽의 유동성 증가 → 빠른 배출십이지장 요인산, 고장성, 지방, 팽창 → 신경 반응, 호르몬 반응 유발 → 위 평활근 흥분성이 감소산의 영향 : 십이지장 내강의 NaHCO3에 의해 중화, 중화 이전에는 위 비움이 억제된다.고장성 영향 ..

위의 외분비 세포주세포펩시노겐과 위 라이페이스를 분비한다.아세틸콜린, 산, 가스트린은 펩시노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벽세포(부세포)HCl과 내인성 인자를 분비한다.아세틸콜린, 가스트린, 히스타민은 HCl의 분비를 촉진한다.내인성 인자는 비타민 B12의 흡수를 촉진한다.점액 분비 세포뮤신(점액)과 NaHCO3를 분비한다.뮤신은 물리적 장벽을, NaHCO3는 화학적 장벽을 형성하여 위 표면을 보호한다.점막을 자극하면 뮤신과 NaHCO3의 분비를 촉진한다.위의 내분비 세포ECL 세포(장크롬친화성 세포)히스타민과 세로토닌을 분비한다. 이들은 국소 조절 분자로 작용한다.아세틸콜린과 가스트린은 히스타민의 분비를 자극한다.G세포가스트린을 분비한다.가스트린의 역할위 점막 성장을 자극HCl 분비를 자극펩시노겐의 분비를 자극..
위의 기능소장의 최적 소화와 흡수의 적절한 비율에 맞추어 음식물을 저장한다.HCl과 소화 효소를 분비해 화학적 소화를 시작한다.분쇄 운동과 혼합 운동을 통해 유미죽을 만든다.위의 영역위저부 : 음식물 저장과 부피 변화에 적응한다.위체부 : 소화물과 분비물을 혼합한다.유문동 : 음식물을 섞고 유미죽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낸다.위저와 위체는 얇은 평활근 층으로 연동 수축이 약해, 음식물을 저장하기 적합하다.유문동은 두꺼운 근육층을 갖고 있어 연동 수축이 강해, 혼합하기에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