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동수송
- 인슐린
- 신호서열
- 오블완
- 광호흡
- 퍼옥시좀
- 후구동물
- 차등 전위
- 초나선
- 루비스코
- 캘빈회로
- 베타 산화
- 티스토리챌린지
- 노션 단축키
- 당지질
- 노션 필수 단축키
- 전주 결혼 준비
- 광계
- 인지질
- 글라이옥시좀
- 인테그린
- 전주 결혼
- 단백질 분류
- 네른스트 방정식
- 간극연접
- 밀착연접
- 노션 블록
- 역수송체
- 콜레스테롤
- 선구동물
- Today
- Total
목록생물학 임용노트 (271)
숭늉의 연구일지

복제 세포의 염색체가 분리되고 세포가 분열을 겪는다. 체세포 분열 모세포와 딸세포가 정확히 같은 유전물질을 갖게 되는 분열 전기 두 개의 중심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하며, 두 중심체 사이에 미세 소관이 형성되어 유사분열 방추사를 형성한다. DNA가 응축되어 염색체 형성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 cohesin이 관여해 염색체 응축을 촉진한다. 식물의 경우 중심립 대신 양극에 짧은 방추사 접합체인 극모가 나타나 방추사를 형성한다. 전중기 염색체가 고도로 응축되고 인이 소실된다. 핵층의 중간 필라멘트 단백질 해체되어 핵막이 붕괴한다. 염색체 하나에 두 개의 동원체(kinetochore)가 만들어져 양극 중심체에서 뻗어 나온 방추사가 동원체에 붙는다. 이에 따라 염색체가 중앙으로 배열되기 시작한다. ** 유사..

간기(interphase) 세포 분열 사이의 생장과 발생의 긴 기간이다. DNA 합성, RNA와 단백질 생산 등 수 백 가지의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G1기(G1 phase) 일반적으로 간기에서 가장 긴 시간(6~12hr)이다. 세포 기능 분화, 세포 생장에 필요한 효소와 구조 단백질이 합성되는 시기이다. 세포 크기와 환경을 확인하고 S기 진입을 결정한다. S기 진입 → 분열하기 적합한 상태 S기 진입 지연 → 분열하기 어려운 환경 G0기(휴지기)** 진입하기도 한다. **세포 주기에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세포가 머무는 시기 예> 신경세포, 근육조직 - 분화가 끝난 상태 S기(S phase) 핵 내의 모든 DNA가 복제되는 시기, 중심립 합성이 시작된다. 히스톤 단백질이 활발하게 합성된다. S기에 DN..

세포 주기(cell cycle) 세포의 생활사를 의미한다. 세포 주기를 통해 모든 형질의 유전 명령이 부모에서 딸로 전달된다. 진행은 검문지점(check point)라 불리는 주요 전환점에서 조절한다. 세포 주기의 개요 진핵생물의 세포주기 ** 24시간을 세포 주기라고 가정할 때 세포 주기의 진행 순서 : G1 - S - G2 - M - G1 - S - G2 - M - .... M기(M phase) : 2개의 딸 세포를 형성, 1hr 정도 세포질 분열(cytokinesis) : 세포가 2개로 나뉘는 과정 유사분열(mitosis) : 핵이 2개로 나뉘는 과정, 전기-전중기-중기-후기-말기로 구성된다. 간기(interphase) : 23hr 정도 G1기 : 튜불린 합성, 6~8hr 정도 S기 : DNA를 2..
유전자 유전자(gene) 생물의 근본적인 정보의 단위.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 산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DNA(또는 RNA)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유전자의 기능 유전정보 저장고 자손으로 전달 표현형의 발현 조절 진화적 기능 유전물질의 확인 실험 Theodore Boveri(보베리) 핵이 제거된 sphaerechinus의 난자 세포질에 Echinus의 정자를 수정 후 발생 시킴 발생된 유생은 Echinus의 유생 형태를 가짐 → "유전 물질은 핵 속에 존재한다." Creighton & Mc Clintock(클레이튼 & 맥 클린톡) 상동 염색체를 통한 교차가 옥수수의 유전자 표현형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증명함. → "유전 물질은 염색체에 존재한다." Griffith(그리피스); 형..

세포 내 도입(endocytosis) 세포와 물질을 섭취하고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동 경로는 세포막 → 초기 엔도솜 → 후기 엔도솜 → 리소좀이다. 세포 내 도입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음세포 작용(pinocytosis) : 'pino-'가 '마시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직경 150nm 이하의 작은 소낭을 통해 액체와 분자를 유입하는 과정을 말한다. 식세포 작용(phagocytosis) : 미생물 및 세포 같은 거대 입자를 포식 소체를 통해 유입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250nm 이상이다. 수용체 매개 세포 내 도입(receptor mediated endocytosis) : 거대 분자가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클라트린 피복 소낭을 통해 세포 내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생합성-분비 경로..

소포체(E.R.)에서 골지체로 소낭이 이동하기 위한 조건 E.R.에서 골지체로 소낭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접힘 과정에서 4차 구조의 형성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만일 접힘과 4차 구조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골지체로 정상적인 이동이 일어나지 못해 E.R. 에 머물러 있거나 분해된다. 골지체에서 소낭의 이동 단백질 합성이 완성되어 rER(rough E.R.)로 완전히 이동한 단백질(분비 단백질, 리소좀 효소 등)은 소낭의 출아와 융합 과정을 거쳐 골지체의 cis면과 융합한다. 시스터나 성숙 모델 rER에서 출아된 소낭들이 융합되어 골지체의 형성면이 형성된 이후, 시스테나가 성숙면으로 이동하면서 내강에 들어있는 단백질이 수정된다. 골지체의 성숙면은 소낭의 출아로 인해 해체되고, 새로운 성숙면에..

소낭 수송의 개요 소낭 수송은 크게 3가지 경로로 구성된다. 생합성-분비 경로 세포 내 도입 경로 회수 경로 소낭의 출아와 융합 피복 소낭(corted vesicle) 막에서 출아하는 소낭의 특이적인 외피 단백질로 막을 돌기 모양으로 만들어 출아를 시작하게 한다. 또한 수송 단백질을 소낭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피복 소낭의 종류와 출아 1. 클라트린(clathrin) 골지체 혹은 세포막에서 출아한다. 출아 과정 운반 수용체가 운반 분자에 결합 세포질 쪽에 어댑틴(adptin)이 결합 어댑틴에 클라트린 분자가 결합 디나민(dynamin)이 돌출 소낭의 목 부분을 둘러싸고 GTP 가수분해 에너지를 사용해 소낭을 출아시킴 단백질이 떨어져 나감 2. Cop 소포체에서 골지체 혹은 골지체 엽 간 수송에 관여..

세포질 ↔ 핵 세포질에서 핵으로 단백질 수송은 세포질의 자유리보솜에서 단백질 합성이 완료되어 핵신호서열(NLS)을 통해 핵으로 수송된다. 이때 GTP가 필요하다. 세포질 → 핵 : NLS가 Transportin과 결합하여 핵공 복합체로 옮겨진 후 Ran GTPase에 의해 핵 내부로 옮겨진다. 핵 → 세포질 : exportin이 관여하며 밖으로 수송한다. 이때 핵 신호 서열은 제거되지 않는다. 세포 분열 후 핵 재형성 과정에서 신호로 사용된다. 세포질 → 미토콘드리아 신호 서열이 20~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Ser, Thr, 염기성 잔기가 풍부하다. 신호 서열이 TOM 복합체(TOM complex)에 결합 하면 TOM 복합체에 의해 막전좌체로 전이되어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간다. 이때 1차 구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