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초나선
- 퍼옥시좀
- 광계
- 후구동물
- 베타 산화
- 노션 필수 단축키
- 루비스코
- 콜레스테롤
- 노션 단축키
- 캘빈회로
- 단백질 분류
- 오블완
- 선구동물
- 인지질
- 역수송체
- 당지질
- 인슐린
- 광호흡
- 전주 결혼
- 수동수송
- 전주 결혼 준비
- 밀착연접
- 네른스트 방정식
- 인테그린
- 간극연접
- 티스토리챌린지
- 차등 전위
- 노션 블록
- 글라이옥시좀
- 신호서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20)
숭늉의 연구일지

색소체(plastid) 전색소체(proplastid) : 무색의 미분화된 색소체. 모든 색소체의 기원이다. → 주로 정단분열 조직 같은 세포 분열이 왕성한 세포에 분포되어 있다. 엽록체(chloroplastid) : 광합성 색소를 가지며 틸라코이드가 발달한 색소체이다. 잡색체(chromoplast) : 꽃, 열매 등 지질 분자가 엽록소가 없는 색소체에 축적되어 발생한다. 예> 카로틴 백색체(leucoplast) : 엽록소와 색소가 없다. 주로 전분, 단백질, 지질 등을 축적한다. → 세포 생리적 상태와 광조건에 의해 엽록소와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황색체(etioplast) : 빛을 받지 못해 입이 황화 될 때 나타난다. 전판상체를 가지며 빛을 받으면 틸라코이드 막이 되어 엽록소로 전환된다. 미토콘드리아..
액포(vacuole) 단일막인 액포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 신장과 같이 커진다. E.R.이나 골지체에서 생성된 소낭들의 융합으로 생성된다. 동물 세포의 리소좀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으며 막에 H+-ATPase를 가지고 있어 산성을 띠고 있다. 기능 중요 유기물, Ca2+, 무기이온 저장 노폐물 저장 → 식물세포가 자랄수록 부피 증가 색소, 독성물질, 기피물질 함유 어린 세포의 팽압 형성 유지체(oil body) 종자 발달간 합성한 지방을 저장하고 축적한다. 주로 triglyceride 형태로 저장한다. E.R. 유래 단일층으로 둘러 싸여 있다. 피복 특수 단백질은 olesin이 존재 퍼옥시좀(peroxisome) 구조 단일막 구조로 간세포와 신장 세포에 많이 분포한다. 세포질에서 만든 단백질, E.R..
구조 지름 1.5um 정도의 구형 소기관으로 산성 가수분해 효소(핵산, 단백질, 당, 지질 등 분해 효소)가 함유되어 세포 내 소화를 담당한다. → 산성환경 유지를 위해 많은 H+-ATPase를 갖고 있다. 이형식포 : 엔도솜(endosome)과 결합하여 외부에서 도입된 물질을 분해한다. 자식포(autophagy lysosome) : 손상 세포소기관이나 과잉 생성 물질과 결합하여 분해한다. 기능 이물질 소화 : 이물질과 리소좀의 융합으로 2차 리소좀 형성 후 분해 자기 소화, 세포 내 소화 : 세포 내 효소, 과립의 제거 분해를 통한 에너지 형성(필요시) 생리 활성 물질 제어 : 과잉 생상 분비 과립이 리소좀과 융합되어 소화되거나 전구물질을 활성화함 세포 외 물질 분해 : 염증, 면역 반응 세포자살 : ..
골지체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시스터나가 여러 겹으로 포개진 형태의 세포 소기관이다. 양극화 구조이다. 골지체의 기능 조면 소포체에서 운반된 단백질에 골지체에서 만든 다당류가 첨가되어 당단백질이 된다. 소포체 N-말단에 N-결합형 올리고당이 첨가된다. 골지체에서 O-결합형 올리고당이 Ser 또는 Thr 잔기에 부가되어 N-결합형 올리고당이 변형되기도 한다. 소낭의 형태로 완성 단백질의 리소좀, 세포 외부, 세포막 등으로 이동시킨다. 기타 기능 : 킬로미크론 형성, 당지질 합성, 막인지질 변형, 정자 첨체, 세포벽 다당류 합성 등 골지체의 구조 cis-면(형성면) : E.R.로 부터 가느다란 관과 소포를 받아들임 tran-면(성숙면) : '트랜스골지면(TGN)'이라는 관상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있다. 분비 소..
소포체(endoplasmic recticulum, E.R.) 가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다각형 및 편평 소낭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단위막 구조이다. 조면 소포체(rough E.R.) 표면에 SRP 수용체(Signal recognition particle receptor**)를 가지고 있어 다수의 리보솜이 존재할 수 있다. 단백질 합성 장소이며, 운반에 관여한다. 단백질에 당을 첨가한다. → Asn 잔기에 첨가된다. 조면 소포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은 소포체 샤페론(단백질의 접힘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의해 접히고, 신호 서열도 제거된다. 이 과정에 이황화 결합이 형성되기도 한다. **SRP 수용체 :리보솜-mRAN-폴리펩타이드 복합체인 SRP가 E.R. 막에 부착되는 것..
특징과 기능 지름 20nm의 과립 모양이다. 2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분은 단백질과 rRNA이다. mRNA 암호에 따라 단백질을 합성한다. 세균은 70s 리보솜, 진핵세포는 80s 리보솜을 갖는다. 자유 리보솜, 부착 리보솜 자유 리보솜(유리 리보솜) : 세포질에 존재한다. 세포질 내에서 기능하는 단백질과 핵,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퍼옥시좀에서 사용되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부착 리보솜(결합 리보솜) : 주로 조면 소포체 막에 붙어 있는 리보솜이다. 막에 삽입되거나 리소좀으로 보내지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중심기관이며, DNA를 함유한다. 핵막(nuclear membrane)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로 구성된 이중막 구조, 조면 소포체와 연결되어 있다. 핵공(nuclear pore) 핵막에 형성된 구멍, 핵과 세포질 사이의 물질 이동 통로이다. → 100여 개의 뉴클레오포린 단백질이 팔각형 배열로 핵공 복합체를 형성한다. 핵과 세포질 사이 단백질, DNA, 고분자 출입을 조절한다. 핵층(nuclear lamina) 핵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단백질 필라멘트 구조이다.

구조와 기능 직경 25nm, 내부 공간 직경 12nm인 튜불린 단백질 중합체로 이루어진 원통 모양 구조이다. 세포 내 여러 부위에서 신속하게 해체와 결집을 반복한다. 세포 내 물질 수송과 세포운동을 수행한다. - 예> 섬모, 편모, 중심립, 기저체, 방추사 방추사는 유사분열 시 미세소관 해체 후 재결집하여 나타난다. α-튜불린과 β-튜불린 두 단백질의 비공유 결합으로 형성된 이량체 중합체이다. 한쪽 끝은 α, 반대쪽은 β가 노출되는 구조적 극성이 나타난다. 양성 말단(plus end)과 음성 말단(minus end) 양성 말단 : β-튜불린으로 종료되는 말단, 신장이 잘 일어난다. 음성 말단 : α-튜불린으로 종료되는 말단, 분해가 잘 일어난다. 양성 말단은 음성 말단에 비해 첨가/해리 속도가 빠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