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테그린
- 차등 전위
- 캘빈회로
- 글라이옥시좀
- 루비스코
- 광호흡
- 신호서열
- 전주 결혼 준비
- 수동수송
- 역수송체
- 전주 결혼
- 초나선
- 광계
- 네른스트 방정식
- 간극연접
- 단백질 분류
- 콜레스테롤
- 당지질
- 밀착연접
- 선구동물
- 오블완
- 노션 블록
- 노션 필수 단축키
- 인슐린
- 인지질
- 퍼옥시좀
- 노션 단축키
- 후구동물
- 티스토리챌린지
- 베타 산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3)
숭늉의 연구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WnX4/btsDqM3PSDq/RzKnYX5T5JBxdFIAdmBH3k/img.png)
생물학적 수송의 힘 4가지생물학적 수송의 힘은 4가지가 있다. → 농도, 정수압, 중력, 전기장 세포 내 확산퍼텐셜의 경우 세포의 크기가 매우 작은 관계로 중력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 내 화학 퍼텐셜은 농도 + 전기장 + 정수압 퍼텐셜의 합으로 볼 수 있다. (Vj : 몰랄 부피, P : 압력, Zj : 전하량, F : 패러데이 상수, E : 전기퍼텐셜, R : 기체상수, T : 온도, Cj : 농도) 확산 퍼텐셜 예시설탕의 확산예> 설탕의 확산 - 정수압 무시 가능, 중성이기에 전기장 성분 없음, 농도 성분으로만 추산K+의 확산 예> K+의 확산 - 전하를 띤 이온의 이동을 고려, 정수압 성부 무시 가능, 농도 성분과 전기장 성분으로 추산설탕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1CGFt/btsDnyEomL6/Eszl00gScUuPesUp2HlZ40/img.png)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 개요 뉴런이 자극되면 수상돌기와 세포체는 전기 신호를 축삭 둔덕까지 전달한다. 여기서는 짧고 빠르며 매우 큰 막전위 변화가 생성되어 축삭말단까지 전파되는데 이를 활동 전위라고 한다. 특성 실무율(all-or-none) 중요한 자극과 중요하지 않은 자극을 구분하는 기작 중 하나이다. 축삭은 활동 전위를 생성하기 위한 역치전위(대부분 -50mv)를 가지며,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활동전위를 일으키지 못하고 소멸한다. 역치 전위에 도달 시 활동 전위는 축삭 전 길이에 걸쳐 같은 크기로 전도되어 나간다. 탈분극-재분극-과분극의 전기적 파동 처음 탈분극은 -50mv ~ -55mv 정도까지 천천히 진행되다가 역치 전위 도달 시, 탈분극이 폭발적으로 일어나 +30mv까지 증가..
차등 전위(graded potential) 다양한 크기와 강도로 일어나는 국지적인 막전위의 변화이다. 특징으로는, 1. 이동거리가 짧다 → 근거리 정보 교환에 이용, 최초 발생 부위에서 몇 mm만 전달된다. 2. 세포를 통과하면서 그 강도가 약해진다. 3. 차등 전위의 크기는 개폐성 채널이 열린 개수에 비례한다. 4. 차등 전위의 지속 시간은 전위의 지속 시간에 비례한다. 5. 흥분성 막의 특정 지역에서 개폐썽 이온 채널 열림을 유도하는 유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차등 전위가 축삭 둔덕에 도달된 정도가 역치 이상일 때 활동 전위가 형성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dF7bA/btsDfiboV0g/JCPig2PR229eEfmpFDYDk0/img.png)
용어 정리 분극(polarization, resting potential, 휴지전위) : 자극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세포의 막전위 또는 그 상태 탈분극(depolariztion) : 휴지 상태보다 더 적게 분극(양의 값으로 증가) 시키는 막전위의 변화 재분극 : 탈분극 이후 다시 휴지전위로 돌아가는 것 과분극 : 휴지 상태보다 더 분극 시키는(음의 값으로 감소) 막전위의 변화 막전위 변화 요인 막전위의 변화는 막 사이의 이온 이동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휴지 전위에 비해) 양이온의 유입 증가 → 탈분극(일부는 유출 억제에 의해 일어남) (휴지전위에 비해) 양이온의 유출 증가 → 과분극(일부는 음이온의 유입에 의해 일어남) 이런 이온 이동 변화는 특정 신호에 대하여 이온의 막 투과성이 변해서 발..
휴지 막전위 세포막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므로 세포막 안팎의 이온이 불균등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막 바깥쪽은 양전하, 안쪽은 음전하를 띠고 있다. 이때 막 밖에 대한 안쪽의 전위차를 막전위라고 한다. 휴지 막전위는 일반적으로 -60mv ~ -90mv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막전위에 미치는 효과 K+의 효과(평형 전위) K+가 농도 기울기에 따라 세포 외로 이동하는 동안 세포 내로 향하는 전기적 기울기는 점점 커진다. → K+의 극소량 이동으로도 전기적 기울기는 달라진다. 농도 기울기와 전기적 기울기가 같아질 때 K+의 순이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이 상태의 전위를 K+ 평형 전위라고 한다. 이때의 평형 전위 Ek = -90mv 정도이다. Na+의 효과(평형 전위) K+와 마찬가지로 Na+의 이동은..
막전위의 생성 몇 가지 주요 이온의 ICF(세포 내액; Intercellular fluid), ECF(세포 외액; Externalcellular fluid) 사이의 비대칭적 분포와 이들의 선택적 투과성이 막전위를 결정한다. → 전위의 크기는 전하의 분리정도에 비례한다. 모든 살아 있는 세포는 양전하가 밖에 많고 안쪽에는 음전하가 약간 많은 상태의 막전위를 갖는다. 전위 생성의 주요 이온과 분포 ECF(mM) ICF(mM) 상대적 투과도 Na+ 150 15 1 K+ 5 150 50~75 A-(단백질 등..) 0 65 0 즉 ICF에는 K+가 많이 존재하며, ECF에는 Na+가 많이 존재한다. 이들 Na+와 K+가 주요 삼투 물질이다. 네른스트 방정식 세포막을 경계로 생성된 이온 농도 기울기에 의해 확산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FFVB/btsC53SVD0g/4kWr9QXRAQbZvarUoJeSU0/img.gif)
노션 기본 필수 단축키(텍스트편)매우 유용한 기능들화살표 : -> , 를 입력만 해도 된다. 왼쪽 화살표도 마자찬가지로 자체를 직접 입력하고 싶으면 화살표로 바뀌었을 때 Ctrl + Z를 눌러주면 된다.이모지 - :키워드나는 이모지 자체를 많이 쓰지 않지만 가끔 사용할 때 /이모지를 치고 들어가서 고르는 게 너무 귀찮았다. 그때 사용하는 것이 :키워드 이다. 만일 사과 이모지를 사용하고 싶으면 :사과 라고 치면 추천된 이모지가 쭉 뜬다. 그런데 한글보다는 영어로 키워드를 입력해 주는 게 더 추천이 잘 되는 것으로 느껴졌다. 물론 윈도우 사용자의 경우 윈도우 자체의 이모지도 넣는 것이 가능하다. 윈도우 이모지 단축키는 윈도우 버튼 + ; 또는 윈도우 버튼 + . 이다.체크 박스 - [ ]체크 박스 머리 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mNSG/btsC5X6jqjH/hWrRONtrv3AHbExN4pGaV0/img.png)
개념 한 가지 용질의 에너지 흡수 반응(오르막 수송)이 다른 용질의 에너지 방출 반응(내리막 수송)과 짝지어져서 일어나는 용질의 수송 Na+ 연계 수송체 : Na+ 유입과 다른 용질의 능동수송이 짝지어진다. 주로 동물세포에 존재한다. H+ 연계 수송체 : H+의 유입과 다른 용질의 능동수송이 짝지어진다. 주로 식물세포에 존재한다. 창자 상피세포의 Na+- Glucose symporter Na+의 농도를 1차 능동수송으로 유지하며 2차 능동수송의 원동력을 제공한다. 1차 능동수송에 의해 형성된 이온농도 기울기는 다른 용질과의 공수송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한다. 대장균의 lactose 수송체 양성자의 농도 기울기를 이용하여 lactose를 세포 내로 유입시킨다.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2차 능동수송 비교 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