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광계
- 인테그린
- 퍼옥시좀
- 노션 필수 단축키
- 당지질
- 콜레스테롤
- 오블완
- 수동수송
- 글라이옥시좀
- 신호서열
- 노션 단축키
- 캘빈회로
- 광호흡
- 후구동물
- 선구동물
- 베타 산화
- 네른스트 방정식
- 인지질
- 티스토리챌린지
- 초나선
- 단백질 분류
- 차등 전위
- 루비스코
- 간극연접
- 노션 블록
- 인슐린
- 밀착연접
- 역수송체
- 전주 결혼 준비
- 전주 결혼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3)
숭늉의 연구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0o9P/btsEEVsC8vj/xkyk1Rgskr6wfPGqXlOYR1/img.png)
세포 내 도입(endocytosis) 세포와 물질을 섭취하고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동 경로는 세포막 → 초기 엔도솜 → 후기 엔도솜 → 리소좀이다. 세포 내 도입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음세포 작용(pinocytosis) : 'pino-'가 '마시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직경 150nm 이하의 작은 소낭을 통해 액체와 분자를 유입하는 과정을 말한다. 식세포 작용(phagocytosis) : 미생물 및 세포 같은 거대 입자를 포식 소체를 통해 유입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250nm 이상이다. 수용체 매개 세포 내 도입(receptor mediated endocytosis) : 거대 분자가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클라트린 피복 소낭을 통해 세포 내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생합성-분비 경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MHnt/btsEE0tRVlF/yeRfjnK1ld0uRT7ansLAU1/img.png)
소포체(E.R.)에서 골지체로 소낭이 이동하기 위한 조건 E.R.에서 골지체로 소낭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접힘 과정에서 4차 구조의 형성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만일 접힘과 4차 구조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골지체로 정상적인 이동이 일어나지 못해 E.R. 에 머물러 있거나 분해된다. 골지체에서 소낭의 이동 단백질 합성이 완성되어 rER(rough E.R.)로 완전히 이동한 단백질(분비 단백질, 리소좀 효소 등)은 소낭의 출아와 융합 과정을 거쳐 골지체의 cis면과 융합한다. 시스터나 성숙 모델 rER에서 출아된 소낭들이 융합되어 골지체의 형성면이 형성된 이후, 시스테나가 성숙면으로 이동하면서 내강에 들어있는 단백질이 수정된다. 골지체의 성숙면은 소낭의 출아로 인해 해체되고, 새로운 성숙면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9ShUv/btsEEyY2Pj7/1qZKjdxWLVWvd19oaTQ11k/img.png)
소낭 수송의 개요 소낭 수송은 크게 3가지 경로로 구성된다. 생합성-분비 경로 세포 내 도입 경로 회수 경로 소낭의 출아와 융합 피복 소낭(corted vesicle) 막에서 출아하는 소낭의 특이적인 외피 단백질로 막을 돌기 모양으로 만들어 출아를 시작하게 한다. 또한 수송 단백질을 소낭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피복 소낭의 종류와 출아 1. 클라트린(clathrin) 골지체 혹은 세포막에서 출아한다. 출아 과정 운반 수용체가 운반 분자에 결합 세포질 쪽에 어댑틴(adptin)이 결합 어댑틴에 클라트린 분자가 결합 디나민(dynamin)이 돌출 소낭의 목 부분을 둘러싸고 GTP 가수분해 에너지를 사용해 소낭을 출아시킴 단백질이 떨어져 나감 2. Cop 소포체에서 골지체 혹은 골지체 엽 간 수송에 관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qvfU/btsEHrKkWQ0/CkTXSPx5L1pQnQ48uPcCp1/img.png)
노션 버튼 다양한 기능을 묶어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간단한 코딩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반복해서 생성해야 하거나 하는 템플릿이나 페이지 등에 적용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르는 '이벤트' 발생 시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단순히 어떤 텍스트를 넣는 것도 가능하고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머리를 많이 굴리면 복잡한 기능을 생성할 수 있지만 나는 주로 3가지 기능을 사용한다. 페이지 만들기 - 업무 일지 매일 반복적으로 만들고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기록을 위해 업무 일지를 작성할 것이다. 업무 일지는 같은 양식으로 사용하므로 버튼을 만들어 반복적으로 생성되도록 만들 수 있다. 내가 사용하는 업무일지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션(notion)] 노션 템플릿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HUjs/btsEGSVA1k4/6FubZwTLR6A8Vdxu6pBE30/img.png)
세포질 ↔ 핵 세포질에서 핵으로 단백질 수송은 세포질의 자유리보솜에서 단백질 합성이 완료되어 핵신호서열(NLS)을 통해 핵으로 수송된다. 이때 GTP가 필요하다. 세포질 → 핵 : NLS가 Transportin과 결합하여 핵공 복합체로 옮겨진 후 Ran GTPase에 의해 핵 내부로 옮겨진다. 핵 → 세포질 : exportin이 관여하며 밖으로 수송한다. 이때 핵 신호 서열은 제거되지 않는다. 세포 분열 후 핵 재형성 과정에서 신호로 사용된다. 세포질 → 미토콘드리아 신호 서열이 20~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Ser, Thr, 염기성 잔기가 풍부하다. 신호 서열이 TOM 복합체(TOM complex)에 결합 하면 TOM 복합체에 의해 막전좌체로 전이되어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간다. 이때 1차 구조로 ..
개요 세포 기질에서 단백질 합성은 리보솜에 의해 대부분 일어난다. 이러한 합성 단백질의 운명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때 세포 소기관으로 올바르게 단백질을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서열을 '분류신호 서열'이라고 한다. 세포 기질 → 핵 : 핵공을 통해 이동한다. 단백질 구조의 풀림이 없다. 세포 기질 → 소기관 : protein translocator를 필요로 한다. 3차 구조가 풀려야 한다. 소기관 → 소기관 : transport vesicle에 의해서 이동한다. 신호 서열(signal sequence) 단백질의 분류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50~60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올바른 소기관으로 이동시 잘려나가며, 같은 곳으로 이동하는 서열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서열 자체보다는 친수성, ..
다양한 블로그의 여행기와 여행 유튜브는 마치 타입랩스 같아서 핵심은 그득하지만 그 속에서 부딪히는 수없이 많은 디테일들은 생략되기 다반사다. 이런 디테일은 나를 정말 미치게 한다. 나는 (강한 J 성향 + 부족한 해외여행 경험 + 부족한 정보 검색 능력)을 가졌기에, 순간 상황대처 능력이 느린데 경험도 정보도 없으니 해외여행 불구자와 다를 것이 없다. 하지만 이 해외여행은 S가 함께 했다. S는 (P 성향 + 풍부한 해외여행 경험 + 뛰어난 정보 검색 능력)으로 나를 완벽하게 이끌어 주었다. 여행에 있어서는 항상 그녀를 존경하고 있다. 이 글을 쓸 수 있게 도와준 S에게 감사를 표하는 바이다. 블로그를 하는 입장에서 여행을 다녀오면 여행기를 응당 작성하는 것이 맞으나, 여행기는 다른 것들이 더 훌륭하기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oKat/btsD5yXKUXa/nc1tSecTlPU0lcG52rsvAk/img.png)
노션 기본 필수 단축키(편리한 기능 편) 링크 복사 페이지 자체의 링크를 복사하는 방법이다. 단축키는 Ctrl + L 이다. 열려 있는 페이지 어디에 커서가 있어도 상관없이 해당 페이지 자체의 링크를 복사한다. 열린 페이지의 링크를 단축키 없이 복사하려면 오른쪽 구석에 있는 … 버튼을 눌러서 링크 복사를 눌러야 되지만 단축키를 사용하면 바로 페이지 어디에서든 바로 복사가 가능하다. 링크를 복사한 후 어디든 붙여 넣으면 된다. 하이퍼 링크 텍스트 노션의 편리한 기능 중 하나가 하이퍼 링크 텍스트이다. 너무 단순한데 그냥 인터넷 페이지 도메인 주소 또는 노션 페이지 링크를 복사(Ctrl + C)한 다음 블록 지정한 텍스트에 붙여 넣기(Ctrl + V)만 하면 된다. 띄어쓰기 단위로 블록 지정 노션 블록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