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노션 블록
- 노션 필수 단축키
- 베타 산화
- 역수송체
- 루비스코
- 차등 전위
- 캘빈회로
- 네른스트 방정식
- 인테그린
- 당지질
- 단백질 분류
- 인지질
- 초나선
- 티스토리챌린지
- 후구동물
- 전주 결혼
- 콜레스테롤
- 퍼옥시좀
- 인슐린
- 광계
- 광호흡
- 간극연접
- 글라이옥시좀
- 밀착연접
- 노션 단축키
- 수동수송
- 전주 결혼 준비
- 신호서열
- 선구동물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3)
숭늉의 연구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ADie/btsIL8nMmv2/W1jdkThUi3oHlLStcZbPrK/img.png)
HelicaseDna B protein 이라고도 한다. ATPase 활성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중나선을 풀면서 DNA를 따라 이동한다. primase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지연가닥에 결합되어 이동한다.SSB, SSBP단일 가닥 결합 단백질이다. helicase로 풀린 단일가닥 DNA에 결합하여 2차 구조 형성과 이중가닥의 재형성을 막고, DNase에 의한 DNA 가수분해를 막는 역할을 한다.PrimaseDna G protein 이라고도 한다. 주형 가닥에 상보적인 RNA primer를 형성한다.Sliding clamp활주 클램프라고 불린다. DNA 중합 효소를 DNA 주형에 단단히 부착시켜 준다. 또한 오카자키 절편 완성 시 DNA 중합효소를 DNA에서 방출시킨다.Topoisomerasegyr..
활성과 기능5' → 3' 중합 활성미리 존재하는 핵산 가닥의 3'-OH 말단에 dNTP 단량체를 중합시킨다. 하지만 두 dNTP 단량체 간 중합 활성은 없다.RNA primer가 필요 - primase(DNA G protein)이 합성해줌이중가닥이 풀려야 함 - helicase와 topoisomerase가 해결5' → 3' 방향만 활성을 가짐 - 선도가닥(leading strand)과 지연 가닥(lagging strand)이 생김외가닥 DNA 상태를 유지해야 함 - SSB가 해결 3' → 5' exonucelease 활성올바르지 않은 염기의 삽입에 의해 생기는 비틀림은 proofreading 기작에 의해 올바르게 교정된다.→ exonuclease 작용 + 중합 작용이 과정에서 107개당 1개까지 오류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JjAE3/btsILUXwi4O/f08aGkY3CP1myDkho7mI4K/img.png)
반보존적 복제양친의 DNA 이중나선이 두 가닥으로 분리되고 이 가닥들이 각각 새로 합성될 가닥의 주형으로 작용한다는 것.Meselson & Stahl의 증명 실험6M의 CsCl 용액에서 평형 밀도 구배 원심 분리 시 밀도에 따라 띠가 형성된다.(6M CsCl - 1.7g/㎤ , 14N DNA - 1.710g/㎤ , 15N DNA - 1.724g/㎤)15N 배지에서 키운 세포를 15N 제거 후 14N 배지로 옮겨 배양한 후 DNA를 분리하여 원심분리한다. 이후 이 용액에 EtBr 처리 후 자외선 하에서 관찰한다. 이때 초나선 DNA는 밀도가 더 높게 관찰되는데, 이는 EtBr이 부유 밀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제 1세대 - 모두 14과 15N의 중간 밀도의 DNA를 가졌다. - 보존적 복제 기작 기각제 2..
염색질(chromatin)Methylene blue로 핵 내에서 염색되는 물질이다.DNA가 히스톤이라는 염기성 단백질에 결합한 것을 말한다.DNA + 히스톤 + 여러 단백질 = 염색질뉴클레오솜 단위체로 구성된다.고농도의 염을 처리 시 히스톤 + 순수 DNA로 분리가 가능하다.히스톤(histone)H1, H2A, H2B, H3, H4에서 4종류의 히스톤 단백질이 8량체(octomer)를 형성한다.Arg과 Lys이 풍부하여 산성의 DNA와 잘 결합한다.DNA와 히스톤이 결합하여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히스톤은 DNA의 큰 고랑(major groove)과 결합한다.뉴클레오솜(nucleosome)H2A, H2B, H3, H4에서 4종류의 히스톤 단백질이 8량체(octomer)를 형성한 후 DNA와 결합한 것으로 ..
원핵생물의 염색체 예시> E.Coli DNA 전체 길이는 1100㎛(원형 DNA 기준)인데 세포의 직경은 1~2㎛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DNA가 고도로 응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DNA가 초나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원핵생물의 초나선 DNA에 RNase나 DNase를 처리하면 초나선이 풀리게 된다.1. RNase - RNA 연결 고리를 절단2. DNase - DNA에 nick을 형성 DNA gyrase가 원핵생물 DNA의 초나선 구조 형성에 관여하며, 1개의 scaffold당 100여 개의 초나선 고리가 존재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ymxyF/btsG5V3E7xv/bIbjRo9NSfKvMOI9s5cMl1/img.png)
재생변성된 DNA의 상보적 단일 가닥은 적절한 조건 하에 천천히 냉각시, 상보적 두 가닥이 수소 결합이 재형성된다.→ 생리적 조건 회복 시 위와 같이 수소 결합이 재형성되는 것을 annealing이라고 한다. DNA 분자의 재생은 12개 이상의 잔기가 두 가닥에 접합시 신속하게 재생된다.하지만 DNA가 두 가닥으로 완전히 분리된 경우 두 단계에 걸쳐 재생이 진행된다.step1 : (비교적 느림) 두 가닥의 DNA가 무작정 충돌하여 상대 가닥을 찾아 상보적 결합을 형성한다.step2 : 비교적 빠르게 진행된다. 지퍼가 잠기는 것처럼 상보적 염기쌍의 결합이 형성된다.DNA 재생 조건1. DNA간 척력 제거 - 염농도가 높아야 함(0.15~0.5M NaCl)2. 무작위 수소결합이 파괴되는 온도는 되어야 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Phrb/btsG5HYIYHv/5JiljcmhtS4dXlcD1Qr3a1/img.png)
변성열과 극단의 pH는 DNA에서 이중 나선의 융해(melting) 또는 변성(denaturation)을 일으킨다. 이때 염기쌍의 수소 결합이 풀려 두 가닥의 DNA 사슬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DNA를 구성하는 공유 결합을 끊어지지 않는다.융해 온도(Tm)열을 가해 DNA를 변성시킬 때 DNA의 절반이 변성되었을 때의 온도를 융해온도(Tm)라고 한다. 일반적으로,DNA의 길이가 길 수록 결합력이 강해져 Tm이 높아진다.DNA를 구성한 G-C 비율이 높을수록 결합력이 강해져 Tm이 높아진다.DNA 변성 요인DNA 변성 요인에는 고온, 극단의 pH, 낮은 염농도, 디메틸 황산, 요소(urea), 포름 아마이드, helicase 등이 있다. 1. 높은 pH는 양성자를 제거해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0j2u/btsG5FT9lyy/OdfmcTXEtARwMbQonluZk0/img.png)
기능mRNA : 전사 과정에 의해 만들어지며 핵으로부터 세포질로 유전 정보를 운반한다.monocistron : 하나의 mRNA 분자에 1개의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고 있음polycistron : 하나의 mRNA 분자에 2개 이상의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고 있음tRNA : 연장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에 올바른 서열로 아미노산이 전달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rRNA : 리보솜의 구성 성분이다.ribozyme : 효소적 기능을 하고 있는 RNA이다.3차원적 구조단순한 1차원적인 서열의 형태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상보적 서열을 통해 여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1. 돌출부(bulge) : 잘 못 짝지어지거나, 짝지어지지 않은 염기가 존재할 때 나타난다.2. 내부 루프(internal loop)3. 헤어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