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전주 결혼
- 당지질
- 인슐린
- 티스토리챌린지
- 신호서열
- 간극연접
- 인테그린
- 노션 단축키
- 수동수송
- 캘빈회로
- 오블완
- 노션 블록
- 전주 결혼 준비
- 후구동물
- 콜레스테롤
- 광호흡
- 노션 필수 단축키
- 역수송체
- 글라이옥시좀
- 베타 산화
- 밀착연접
- 차등 전위
- 퍼옥시좀
- 광계
- 선구동물
- 단백질 분류
- 네른스트 방정식
- 초나선
- 루비스코
- 인지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3)
숭늉의 연구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VGngh/btsFaLPYF5Q/6HDMh8okcDu4VT7r7FqKX0/img.png)
S기 진입에 대한 조절 Rb 단백질의 불활성화에 따른 G1/S-cdk와 S-cdk의 활성화로 일어난다. 활성형 Rb 단백질은 E2F(유전자 조절 단백질)을 불활성화시켜 S기 진입을 억제한다. 외부의 mitogen에 의해 G1-cdk가 활성화되면 Rb 단백질이 인산화되어 불활성화 된다. E2F의 활성화는 S기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해 Cyclin E, Cyclin A 합성을 촉진한다. Cyclin E는 G1/S-cdk의 활성을, Cyclin A는 S-cdk 활성을 촉진한다. 활성화된 두 cdk는 Rb 인산화를 촉진해 Rb를 불활성화시킨다. 이는 E2F 자신의 양성 피드백을 만들어낸다. DNA 재복제 방지 DNA 복제기점 서열(ARS)에는 복제기점 인식 복합체(ORC)가 세포주기 내내 존재하며 S기 시작 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DyvI8/btsFcjypfQS/xVbDNkVKffCprqOXY4LMak/img.png)
cdk(cyclin-dependent protein kinase) 세포 주기 중 서로 다른 주기로의 전이와 진입을 조절하는 주요 효소이다. ATP를 이용하는 인산화 효소이다. 세포 주기 전체에 걸쳐 존재하며 특정 시기에만 활성을 띠는 주기적 활성을 갖는다. 사이클린(cyclin) cdk를 활성화시키는 단백질로 그 자체로는 효소 활성이 없다. cdk와 달리 세포 주기 동안 농도가 주기성을 띠며 변화한다. cyclin 농도의 주기적 변화로 cyclin-cdk 복합체가 주기적으로 생성된다. 주요 cdk 조절 기작 cyclin 합성과 분해 대부분 cyclin은 빠른 대사 회전이 일어나 특정 시기에 합성 후 빠르게 분해된다. 인산화와 탈인산화 cdk는 2개의 인산화 부위를 가져 활성이 조절된다. Tyr 잔기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6Y1YL/btsFcCq3UQb/dmnGahne6VMezqNIzucn30/img.png)
세포 주기는 조절 단백질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조절된다. 다양한 확인지점에서 세포 주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분자적 제동장치를 이용하며 DNA 복제, 유사분열 등을 조절한다. 확인지점 세포 주기의 진행을 결정하는 지점으로 여기서 세포 주기를 정지 시킬 수 있는 분자적 제동장치가 존재한다. 주요 확인 지점 G1 확인 지점 S기에 앞서 세포 증식 환경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다른 세포 신호로 조절이 가능한 곳이다. 만일 환경이 부적절하면 세포 주기를 지연시키거나 G0(휴지기)로 들어가게 한다. 세포에서 교차로 역할을 수행한다. G2 확인 지점 손상 DNA 복구 여부, DNA 복제 정도에 따라 M기로의 진행을 결정한다. 유사분열 확인 지점 복제 염색체가 유사 분열 방추사에 적절히 붙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감수 분열 모세포의 절반에 해당하는 유전물질을 갖는 딸세포가 생성되는 분열이다. 제1 감수분열 전기Ⅰ 세사기 : 염색체가 응축되기 시작해 염색립(chromomere)이 보이기 시작한다. 접합기 : 접합 복합체에 의해 상동 염색체가 쌍을 이루어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태사기 : 염색체가 짧아지고 계속 응축된다. 교차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복사기 : 쌍을 이룬 염색체의 동원체가 분리되고 키아즈마(chiasma; 교차점, 상동 염색체 간 접합 부위)라 불리는 X자 모양의 구조물이 분명해진다. 이동기 : 염색체 응축이 계속되고 핵의 중앙으로 이동한다. 중기Ⅰ 염색체의 상동 쌍이 중기판에 배열한다. 후기Ⅰ 동원체의 분리와 자매 염색체의 분리가 없는 상태로 양극으로 염색체가 이동한다. **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nyaV/btsFb0TnFKL/rzNOI02skVuuvR4dRhGg90/img.png)
복제 세포의 염색체가 분리되고 세포가 분열을 겪는다. 체세포 분열 모세포와 딸세포가 정확히 같은 유전물질을 갖게 되는 분열 전기 두 개의 중심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하며, 두 중심체 사이에 미세 소관이 형성되어 유사분열 방추사를 형성한다. DNA가 응축되어 염색체 형성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 cohesin이 관여해 염색체 응축을 촉진한다. 식물의 경우 중심립 대신 양극에 짧은 방추사 접합체인 극모가 나타나 방추사를 형성한다. 전중기 염색체가 고도로 응축되고 인이 소실된다. 핵층의 중간 필라멘트 단백질 해체되어 핵막이 붕괴한다. 염색체 하나에 두 개의 동원체(kinetochore)가 만들어져 양극 중심체에서 뻗어 나온 방추사가 동원체에 붙는다. 이에 따라 염색체가 중앙으로 배열되기 시작한다. ** 유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6zPH/btsE2AoEl9L/7MjKYu2JaSR9AcwvSKOTAk/img.png)
간기(interphase) 세포 분열 사이의 생장과 발생의 긴 기간이다. DNA 합성, RNA와 단백질 생산 등 수 백 가지의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G1기(G1 phase) 일반적으로 간기에서 가장 긴 시간(6~12hr)이다. 세포 기능 분화, 세포 생장에 필요한 효소와 구조 단백질이 합성되는 시기이다. 세포 크기와 환경을 확인하고 S기 진입을 결정한다. S기 진입 → 분열하기 적합한 상태 S기 진입 지연 → 분열하기 어려운 환경 G0기(휴지기)** 진입하기도 한다. **세포 주기에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세포가 머무는 시기 예> 신경세포, 근육조직 - 분화가 끝난 상태 S기(S phase) 핵 내의 모든 DNA가 복제되는 시기, 중심립 합성이 시작된다. 히스톤 단백질이 활발하게 합성된다. S기에 D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cgGt/btsFaCEHRJx/sOtDnTNU6ED9AJmQDtvUq1/img.png)
세포 주기(cell cycle) 세포의 생활사를 의미한다. 세포 주기를 통해 모든 형질의 유전 명령이 부모에서 딸로 전달된다. 진행은 검문지점(check point)라 불리는 주요 전환점에서 조절한다. 세포 주기의 개요 진핵생물의 세포주기 ** 24시간을 세포 주기라고 가정할 때 세포 주기의 진행 순서 : G1 - S - G2 - M - G1 - S - G2 - M - .... M기(M phase) : 2개의 딸 세포를 형성, 1hr 정도 세포질 분열(cytokinesis) : 세포가 2개로 나뉘는 과정 유사분열(mitosis) : 핵이 2개로 나뉘는 과정, 전기-전중기-중기-후기-말기로 구성된다. 간기(interphase) : 23hr 정도 G1기 : 튜불린 합성, 6~8hr 정도 S기 : DNA를 2..
유전자 유전자(gene) 생물의 근본적인 정보의 단위.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 산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DNA(또는 RNA)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유전자의 기능 유전정보 저장고 자손으로 전달 표현형의 발현 조절 진화적 기능 유전물질의 확인 실험 Theodore Boveri(보베리) 핵이 제거된 sphaerechinus의 난자 세포질에 Echinus의 정자를 수정 후 발생 시킴 발생된 유생은 Echinus의 유생 형태를 가짐 → "유전 물질은 핵 속에 존재한다." Creighton & Mc Clintock(클레이튼 & 맥 클린톡) 상동 염색체를 통한 교차가 옥수수의 유전자 표현형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증명함. → "유전 물질은 염색체에 존재한다." Griffith(그리피스);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