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후구동물
- 인슐린
- 당지질
- 노션 단축키
- 전주 결혼 준비
- 전자전달 복합체
- 오블완
- 인지질
- 베타 산화
- 네른스트 방정식
- 퍼옥시좀
- 차등 전위
- 밀착연접
- 노션 블록
- 인테그린
- 콜레스테롤
- 루비스코
- 수동수송
- 신호서열
- 광계
- 역수송체
- 초나선
- 간극연접
- 단백질 분류
- 광호흡
- 노션 필수 단축키
- 캘빈회로
- 티스토리챌린지
- 선구동물
- 글라이옥시좀
- Today
- Total
목록2024/08/02 (4)
숭늉의 연구일지
진정 복귀 돌연변이(true reversion mutation)돌연변이가 일어난 바로 그 자리가 돌연변이가 일어나 정상 표현형으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억제 돌연변이(supressor mutation) intragenic supression :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 내부의 제 2의 자리가 돌연변이가 일어나 돌연변이가 억제되는 것을 말한다. intergenic supression : 한 유전자에서 일어난 돌연변이가 다른 유전자에서 일어난 돌연변이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말한다. (그림 추가) supressor tRNA : 종결 코돈과 반응하는 변화된 tRNA로 nonsense mutation을 억제한다. nonsense supressor tRNA라고도 한다. 종결 코돈을 억제하지만 항상 단백질의 원상 복귀..
원인 자연 발생 토터머화(tautomeric shift): 이중결합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구아닌, 타이민 : 케토형(keto form)↔엔올형(enol form) 아데닌, 사이토신 : 아미노형(amino form)↔이미노형(imino form) tautomer 형성으로 잘못된 염기쌍이 형성 될 수 있다. A(amino) = C(imino), C(amino) = A(imino) T(keto)≡G(enol), G(keto)≡T(enol) 탈퓨린화(depurination): 염기와 오탄당 간의 결합이 끊어지는 것으로, DNA에서 많이 일어난다. 탈아미노화(deamination): 뉴클레오타이드 염기 고리의 아미노기가 소실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이토신(C)이 유라실(U)로 바뀐다. 돌연변이 다발지..
방향에 따른 분류 정방향 돌연변이(fowrad muation): 돌연변이 표현형을 갖는 형태로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 복귀 돌연변이(reverse muation): 돌연변이가 한 번 더 일어나서 원래의 표현형을 회복하는 것. 진정 복귀 돌연변이(true reversion muation): 돌연변이 지역이 정상으로 돌아옴. 의사 복귀 돌연변이(pseudo reversion muation): 제 2의 자리의 돌연변이가 야생형을 만드는 것. supressor muation 이라고도 한다. intragenic supression : 유전자 내에서 일어남 intergenic supression : 유전자 간에 일어남 변화한 염기수에 따른 분류 - 염기치환 다중 돌연변이(multiple muation): 둘 이상..
돌연변이의 개요 정의 : 돌연변이(muation)이란 유전 물질 내에 생기는 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생기는 과정을 의미한다 용어 정리 돌연변이체(mutant) : 정상형 또는 야생형과 다른 유전자 또는 생물체 돌연변이 유발원(mutagen) :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인 돌연변이 유발(mutagenesis) : 돌연변이의 유도 과정을 의미. 자연 돌연변이(spontaneous mutation)는 유발원이 없고, 유도 돌연변이(induced mutation)는 유발원이 있다. 의의 : 유전적 변이의 주요 공급원이자 진화의 기본적인 원인을 제공한다.